Seoul Physiognomy

Seoul Physiognomy

With the distant vista captured by my young eyes from the cable car of Namsan, Yeouido square, and the surrounding areas of Daehakro being lost, I find myself face the current densely built-up streets with the numerous brand shops and buildings whose construction times are not identified in the city of the buildings with no differences, of the continued repetition, and of durability. In a situation with a myriad of works regarding the city, to deal with the city as a material may heal many signs of reality from which we cannot escape and scene on every moment may be the realities spread out before us with a small invisible thorn run into our lives. It is kind of easy for me who was born in Seoul and have looked in every nook and corner of Seoul to grab the features and sentiments of the areas. No matter how Seoul has been changed, som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ould be left behind. However, sometimes, it’s, though being intensely concentrated, just strange, unimpressive, and unsatisfactory to me with a newly-built road and newly-established downtown in the area. I, who have worked on the distinctive interior space of the city, had no choice but to start the work on the scenes of Seoul with which I have been acquainted by the act of taking pictures like squeezing the vacation homework I put off, which has lasted for 6 years. My work started from going out in search of the places in my recollection. In order to remember a thing, I tried to find a building where I could come up with the place which I was familiar with and I was related to, taking a view of the past. A question of “No, why?” and “Unfamiliar” came between the view of adult and that of child due to ‘distance’ and ‘building’. And my pure memory disappeared and the gaze of tremendously stimulating the visual organ and the temptation of attracting me were provided even though the present city fully revealed in the collective memory of the city through the personal experience of childhood is not expected as the city of newness, creativity, and utopia.

●In short, an image of special buildings centered on the land mark symbolizing the more beautiful and peaceful city and an image of economic value would be made if the pictures were taken from the request of someone. However, there were not just the positive aspects on this and a question regarding the essence of city was raised about in what form the results of the nicely-appearing shape were visualized through searching for the invisible boundary. A feeling flashed across my mind that scenes with no differences and an identical outline of buildings represented a cross-section of the ordinary spaces of Seoul in which only repetition exists and the desires of government, businesses, and individuals were projected in the city design of repetition and banality out of stereotype and conventional methods. Images of different places or different locations which look like the same place and the same locations or images of around them may be taken. Everybody has his own way of remembering the city. People feel the repetition of the same image in the city for the reasons that they don’t feel the city themselves, have a rough picture of the city, or don’t give an attentive look to the outline of buildings. An apartment of a certain brand is much more expensive and more spacious than the other apartments but it gains the supremacy in the area, forming the business district and strengthening its position. Not only are the conditions of brand influence in the sale price which doesn’t fall, but also in functioning as the landmark showing off the power of the preferred brand. Apartment spreading in the form of the folding screen, like a shape of falcon surround the area, forces its way in front of my camera with the power of tsunami taking off vertically and breaking the solid crust. Other buildings other than the apartments are expected to disappear in the near future. Apartment commanding a fine view, though i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tional park, produces high hopes for living here. A hope for waking up with chirping birds in the morning, gazing at the colorful trees down from the balcony, feeling the cold air and the smell of trees, and commanding a view of nature has the precedence over the reason or purpose of building the apartment here, which provides the city dwellers with the expectation of being healed by nature.

●The effect and meaning of a place take shapes through a spatial concept that work is ‘real’, the reality in the place and temporality, and the continued repetition with no differences on the basis of the similar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cal aspects of the city not giving consider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the identity of object. The outline of buildings and codes in the area reveal themselves rather than the space is paid attention to with the image showing the repeated outline with no differences or its artistic reality. Images completed and fixed with the exclusion of the momentary and accidental, which is characteristic of photography, reveal the existence of the present by focusing on the outline of building and a place rather than being credited for their value or containing the uncertain temporality. The older buildings are, the more vivid their color are. And the newly-constructed buildings appear to be repetitive by maximizing the structure of the outlook and their aesthetic value in the teeth of their different heights and locations for the purpose of placing a high value on the building. With the area or border of the region disappearing and without a mountain or distinctive buildings, its border and symbol are ambiguous. It is natural for the desires to reveal themselves because a newly-constructed building is the object of material. The buildings without colors are reflected as image embodying the hollow brands of shoes or handbags, like imitations with no changes on the basis of the private desires. In particular, buildings along with the roads in the form of folding screen or scroll, paying no attention to the conditions of the area or environment other than view point or sales price and being overwhelmed by the newly-constructed buildings to perish in the near future, give tension of being chased into a cast net like small fish in the stream or valley. The diversity and preservation of the build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re gone in the near future with the same buildings, which sparks concerns and frustrations. While Seoul would be much different from what Seoul is now if more consideration were to be given to the environment of the city and the code of nature were to be used more carefully, the irreparable reality reveals itself with the signs of ultimate consumption and ambiguity of where we are.

● While Seoul Physiognomy may start from a desire to be remembered, found, called on , I cannot disguise the sadness over the present undeniable, unreasonable, and unusual scenes of reality upon a premise of pictures taken from the angles not far different from other’s as the work has progressed. Peculiar shapes or forms coming from the differen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an expectation of the harmony with being not standardized, well-shaded city with greens, a sense of air in the dense forest, a fine scene of endless mountain peaks covered with a sea of clouds or in the rain. It is because that is the city dwellers’ dearest hope and that is the essence of the city dwellers missing the nature.

서울관상전

차이 없는 건축물, 반복의 연속, 지속성만이 존재하는 도시는 어린 눈으로 기억된 남산의 케이블카에서 내려다 본 풍경이나 여의도의 광장, 대학로의 거리 풍경은 사라지고 빽빽하고 차곡차곡 들어서있는 브랜드 샵들과 언제 들어섰는지 모를 건물들이 현재의 풍경 만이 존재함을 깨닫게 되었다. 도시에 관한 무수한 작업이 나오는 상황에서 도시를 소재로 다룬다는 것은 어쩌면 도시를 벗어날 수 없는 현실에 처한 여러 징후들을 치유하는 일일지도 모르고, 매 순간 접한 풍경의 장면들은 보이지 않는 작고 얇은 가시에 박혀 뽑을 수 없는 현실들 만이 눈앞에 펼쳐져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태어난 나는 어려서부터 서울의 구석구석을 찾아 다녀서 인지 어디를 찾아가도 웬만하면 지역의 느낌과 특징을 파악하고 찾아 다니기가 수월하다. 서울이 아무리 변화해도 어느 정도 지역적 흔적은 남아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로가 새로 만들어지거나 지역적으로 다운타운(downtown)이 형성될 경우에는 아무리 촉을 세워도 낯설음과 지역의 감흥은 살아나지 않고 어정쩡하기만 하다. 도시의 특정적인 실내 공간만 작업했던 내게 서울의 풍경은 방학 숙제처럼 미루고 미뤘던 숙제를 시작할 수 밖에 없는 마음으로 시작됐고, 촬영이라는 행위를 통해 내가 친숙하게 잘아는 서울을6년동안 진행하고 있다. 작업은 과거의 기억에 남아 있는 추억의 장소부터 찾아 나섰다. 무엇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내가 잘 알고 관계되었던 공간을 떠올리고 그 곳을 조망할 수 있는 건물을 찾았다. 성인의 시각과 어린시절의 시각 사이에는 ‘거리’와 ‘건물’ 때문에 “낯설다”, “아니 왜”? 라는 질문이 생겨났고, 유년 시절의 개인적 경험을 통한 도시의 집합적 기억과 전면에 드러난 지금의 도시는 새로움, 창조, 유토피아를 기대하진 않았지만, 나의 순수한 기억은 사라지고 엄청난 시각을 자극하는 시선과 나를 끌어 잡아당기는 유혹이 제공 됐다.

● 요컨대 누군가에 요청에 의해서 촬영이 이루어졌다면 좀 더 아름답고 평화롭게 도시가 상징하는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내세울만한 건축물이나 경제적 가치까지 도모하는 이미지를 만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긍정적 측면만이 있지 않기에 쉽게 드러나지 않고 또 보이지 않는 경계 면을 찾아 멋지게만 드러나 있는 외형의 결과물이 어떤 형상으로 가시화 되어 있는지 도시의 본질에 대한 물음을 갖게 했다. 차이 없는 풍경, 동일해 가는 건축의 외형은 반복만이 존재하는 서울의 보편적 공간의 단면을 표현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과 틀에 박힌 공식이나, 어떤 설정에 의해 반복적이고 식상함의 진부한 방식으로 도시를 디자인하는 정부, 기업, 개인의 욕망이 반복된 외형을 투사하는 듯 보인다. 이미지는 다른 장소 다른 위치임에도 불구하고 어쩌면 동일한 장소처럼 보이거나 그 주변을 촬영 한 듯 하다. 도시를 기억하는 방법과 행위는 사람마다 다른데 같은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보는 것처럼 느끼는 것은 스스로가 도시를 느끼지 않거나 대략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거나 건물의 외형을 그리 신경 써서 보지 않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아파트를 견주어 보자면 모 브랜드의 아파트는 다른 아파트에 비해 월등하게 비싸거나 평수가 넓음에도 불구하고 그 지역을 장악하여 상권을 형성하고 입지를 다지고 있다. 브랜드 파장력의 조건은 매매 가가 낮아지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선호하는 브랜드의 힘을 드러내고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병풍처럼 장막을 펼친 아파트는 그 지역을 아우르는 매의 형상처럼, 또는 쓰나미가 밀려 올 듯 높은 파도가 수직 상승하여 단단한 지각이 부서질 정도의 큰 힘이 요동 치듯 카메라가 있는 곳까지 밀고 들어올 기세다. 조만간 아파트 외에 건물은 사라질거라는 예상을 하게 만든다. 또한 국립공원인데도 불구하고 산을 깎아 조망 권이 확보된 아파트는 이 곳에 살고 싶게 만드는 희망을 갖게 한다. 아침에 새소리를 들으며 기상을 하고 베란다 문을 열면 계절 별로 느껴지는 나무들의 형형색색의 색감을 바라보고, 차가운 공기와 나무의 냄새 등 도시인들이 자연으로 힐링 할 수 있는 기대감을 부여하는 것은 그곳에 아파트를 짓게 된 경유나 목적 따위는 중요하지 않고 그 곳에서 자연을 바라보고 살 수 있다는 희망만이 보여지기 때문이다.

● 작업은 ‘리얼하다’는 공간적 개념과 리얼리티를 장소와 시간성을 두고, 지역적 특성을 배려하지 않은 도시의 동일적 이면과 대상의 동일성의 유사 관계에 기초한 차이 없는 반복의 지속을 통하여 장소의 효과와 장소의 의미성을 드러낸다. 이미지는 차이를 같지 않은 반복된 외형을 드러내거나 그 자체가 예술적인 리얼리티를 드러내어 공간을 주목하기보다는 건물의 형태와 지역적 코드 만을 드러내게 된다. 사진이 갖는 찰나적이고 우연적인 것을 배제하고 완성되고 정착화 되어있는 이미지는 가치를 인정 받으려거나 불확실한 시간성을 담지 않고 건물의 외형과 장소만을 관심을 갖게 함으로서 현재의 존재성을 드러낸다. 오래된 건물일수록 외형의 색채는 화려해지고, 새롭게 지은 건물들은 외형의 구조나 조형미를 극대화 함으로서 건물의 가치를 높게 매기려는 욕망을 드러내어 건물의 높이나 위치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반복되게 보인다. 지역의 영역이나 경계는 사라지고, 산이나 특징적인 건물이 있지 않는 한 그 경계와 상징성이 모호하다. 새롭게 만들어진 건축들은 물질의 대상이기에 욕망을 드러나기 마련인데, 어쩌면 색채가 없어지는 건축물들은 사적 욕망에 기초한 변화 없는 모조품처럼 구두나 핸드백처럼 실속 없는 브랜드의 껍질을 형상화 하는 이미지로 반영한다. 특히 도로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건축물은 즐비한 병풍이나 족자 형식의 모양새를 형성하는데, 어쩌면 뷰 포인트나 분양가 만을 의식한 듯 지역적 조건이나 환경은 어디에도 신경 쓰지 않는 듯 보이고, 오래된 지역은 새롭게 지어질 건물에 압도되어 곧 사라질 듯 흡수되어, 물가나 계곡에서 조그만 물고기들을 투망 안으로 집어넣을 듯한 조이는 긴장감을 자아낸다. 곧 건축물의 다양성이나 보존은 사라지고 건물의 동일화와 지역의 특성이 사라질까 하는 우려와 아쉬움을 갖게 한다. 애초에 도시가 환경을 좀더 생각하고, 자연적 코드를 잘 활용했다면 서울의 모습은 지금의 현실과는 전혀 다른 풍경을 자아낼 것이지만 여기가 어딘지 저기가 어딘지 애매모호함과 궁극적으로 소비와 표상만이 드러나 그것은 회복할 수 없는 현실을 발현한다.

● 서울관상전은 어쩌면 기억되어, 찾고 싶고, 찾아가고 싶은 욕망으로부터 시작 됐지만 작업이 진행될수록 서로 비슷한 앵글을 잡을 수밖에 없다는 전제를 안고 촬영을 하게 되고, 거부할 수 없는 현재의 비합리적이며 비상식적인 실재의 풍경에 안타까움만이 존재하게 한다. 다름에서 오는 특이한 형상이나 형태가 제각각이듯 어느 한 곳이 똑같지 않아, 비 정형화가 주는 조화로움이나 녹색이 주는 짙은 녹음, 울창한 숲이 주는 공기감, 끝없는 산봉우리의 여운을 바라보며 비라도 내리면 운해에 산자락이 가려 운치 있는 풍경을 바라보는 그러한 기대감을 고대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도시 속에서 삶을 살아가는 바램이자 자연을 그리워하는 거부할 수 없는 도시인의 본질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