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oGwan, Inn

< YeoGwan, inn >  Eunjong Lee

Inn is a space of ‘lodging industry’ and is a public place where offers service to people, who need resting. Also, the space of inn is characteristic of being transformed into private space for staying if people pay a hotel bill. Love motel, which becomes a common lodging facility in South Korea, is associated with the space of appealing to sex rather than the concept of old ‘inn’. We accept thinking way about a space based on habit and recognition which are formed socially, so that we usually recognize the inn as extramarital space where most men and women have sexual intercourse like TV media and papers rather than the concept of staying and resting.

Regarding to photograph <Inn>, we accept thinking way about a space based on habit and recognition which are formed socially, so that we usually recognize the inn as extramarital space where most men and women have sexual intercourse like TV media and papers rather than the concept of staying and resting. The <Inn> which is first project of Yeokmasal Project, visualize the temporal/perceptual space on private space. Moreover the conditions of this space makes to broad ‘site-specificity’ to ‘situation-concreteness’, so I would like to emphasize ‘accepting situation’ which means ‘what you see is to see’.

My first experience in an inn was not for sex but for staying of several days in university days of early 1990s in order to prepare for gathering of criticizing and discussing social situation. Space sense, which could not feel in home and university, made me be strange and nervous, and that I could not fall to get to sleep in the inn because of concern about that someone could open the door of my room remains in my memory. Without any emotional intervention, the artist tries to represent realistically the situation of motel, which increases by geometric progression in the compliance with high interest about city space of Seoul and highly thriving cities. It is the story about urbanites, who pursue to deviate from daily code and to satisfy exciting and tempting demands, and about the space of a desire, which attracts such urbanites. If audiences appreciate photographs of <Inn> in the perspective of their individual experience about motel, they could create the space of their own memory. The images capture the site intactly without intervention of artist. The interest of Seoul to city-site and prosperous cities reveal the reality of motels which is parasitically increasing. Moreover it reveals the set-up of desire to attract urbanites who seek the place to be faithful on attractive and irritating desire. Through the pre-used and used rooms the medium of photography reproduce the area of privacy which do not want to be shown by others. The used room is full of signifiers, which are messy bed sheet, pillow, and stuffs, also this signifiers directs deviation from the rule of ordinary space and structured life. Therefore the used room shows different pattern from the space in house. In other words, it instructs the role of one-time space. The shapes of models are diverse depending on the local and place such as magnificent marble buildings of modern style, rococo style and baroque style, motels of sauna style with Korean traditional floor-heating rooms and etc; at the night, the whole motels are brilliantly illuminated with splendid lightings and special lighting. In addition, new motels have separate entrance and exit, and are installed the cover for plate, which protects anonymity. Such service blocks people’s eyes and protects individual private with purpose of easy inflow to their motel.

Rooms of the inn still play the role like memory of first love, longing toward people who broke up, laying down exhausting body, hideout for hiding after committing a crime and etc.

< 여관 >  이은종

여관은 ‘숙박 서비스’ 업종의 공간이고, 휴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공공의 장소이다. 또한 일정금액을 지불하면 그 시간 동안은 누구에게나 사적 공간으로 전환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한국의 일상 풍경이 되어버린 러브 모텔은 오래된 ‘여관’의 개념보다는 좀 더 섹스가 어필 되는 공간으로 생각하게 된다. 우리는 하나의 공간에 대해 지각하는 방식이 이미 사회적으로 형성된 습관과 인식을 토대로 받아들여지는데, 여관이 갖고 있는 숙박과 쉼의 개념보다는, TV 매체나 지면을 통해 불륜의 공간으로 남녀간의 정사가 이뤄지는 공간/ 범죄와 타락이 내재하는 음지의 공간으로 인식한다.

<여관>, 사진은 미디어가 전달하는 속성에서 벗어나 도시공간 특성을 관찰 탐색을 통해, 공적/사적 공간이 지니고 있는 스페셜함을, 이미지를 통해서 개인의 경험에서 오는 상상의 이야기를 들춰내고, 서양과 동양의 섞임이 있는 방 / 외부로부터 끌어 들여야 하는 이벤트화된 공간의 유형들을 보여준다. ‘역마살 프로젝트’ 의 첫번 째 작업인 <여관>은 사적 공간에 대한 인식적/ 시간적인 공간성을 감각적/시각화하고, 이런 공간에 대한 조건들이 ‘장소-특수성(site-specificity)’을 하나의 ‘상황-구체성(situation-concreteness)’으로 넓혀서 ‘당신이 보는 것이 보는 것이다’라는 ‘수용상황’을 강조하고 싶다.

여관의 첫 경험은 사회적으로 데모가 크기 일어나던 시기에 학습이란 목적을 가지고 친구 집 여관을 찾아간 것이 계기가 됐다. 일회적이고 베일에 쌓인 공간은 나에게 집이라는 공간에서 느낄 수 없는 낯설음과 야릇함을 느끼게 했다. 여러 번의 방문을 통해 여관의 공간은 서울을 대변하는 공간으로, 나아가 생산과 배설의 장으로 하나의 함축적 의미로 느껴졌다.  개인적이고 특수한 경험은 전체적이고 보편적인 체험에 의해 잠식당하기 일쑤인데, 사람이 없는 흔적을 통한 이미지는 행위에 대한 표상적 입장, 관람자로 하여금 개인의 기억과 현실 사이의 의미를 유추하게 한다. 이미지는 현실을 작가의 개입 없이 현장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고자 한다. 서울의 도시공간에 대한 관심과 번창하는 도시일수록 기생적으로 불어나는 모텔들의 현실과 일상적인 코드에서 벗어나 좀더 자극적이고, 유혹적인 욕구에 충실할 수 있는 곳을 찾는 도시인들과 이들을 끌어 들이게 만드는 욕망의 장치들을 드러낸다. 사용된 방과 사용되기 전 방을 통해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는 사생활의 영역을 사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리얼하게 재현한다. 이미 사용된 방은 흐트러진 침대 시트와 베개, 정리되지 않은 사물들을 통해서 일상적인 공간의 규율로부터 일탈과 정형화된 삶으로부터의 이탈을 지시하는 기표들로 가득 채워져 있어, 집의 공간과는 다름의 패턴들이 나타난다. 곧 일회적인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지시하는 것이다. 여관의 외형도 각 지역과 장소/크기에 따라, 여관 또는 모텔, 호텔로 구분이 되며, 외형 또한 모던스타일, 로코코/ 바로코 양식의 휘황찬란한 대리석 건물, 한국의 전통적인 기와가 있는 한옥 등이 밤이 되면 조명과 싸이키로 불야성을 이룬다. 또한 들어가는 입구와 출구가 따로 있어 주차장의 번호판 가리개를 설치해주어 익명을 보호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주변 의식을 덜 받을 수 있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어 공간 안으로의 유입을 좀더 쉽게 해주는 장치들이다.  사용하는 이는 그 공간을 보다 자유롭게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일상이라는 무미건조함에서 보다 개인적으로 도발적인 시도와 형식에서 벗어나려는 현대인들의 단편적인 양태를 드러나게 한다.

여관 방은 지금도 가슴 후끈한 첫 사랑을, 헤어진 사람을 그리워하며 또 다른 사랑을, 집은 없지만 고단한 몸을 누울 수 있는, 죄를 짓고 숨어있는 도피처로서의 기능 등을 하고 있다.